인재상 - 미디어&엔터테인먼트전공은 초지능사회로 진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미디어, 특히 ICT(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)와 이를 활용한 콘텐츠의 사회적/심리적 효과를 학문적으로 조명하는 동시에 이를 기획, 제작 및 경영하는 기술과 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. 또한 공연/영상예술 콘텐츠를 기획, 제작하는 예술적 창의력과 지식을 갖추고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방송, 영화, 뮤지컬, 연극, 게임, 테마파크 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들이 융합되는 추세에 맞춘 인재를 양성합니다.
전공과목 - TV프로그램 제작, 첨단영상제작, 미디어 심리, 미디어 효과, 미디어 수용자,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제작, 가상현실 영상 제작, 디지털 콘텐츠 제작, 소셜 빅데이터 분석, 그리고 공연/영상 예술의 연출/대본, 제작에 관한 과목, 엔터테인먼트 아트의 장르와 역사, 놀이 연구, 신화연구,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엔터테인먼트, 엔터테인먼트 아트의 최근 경향을 전하는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전공능력 | 정의(개념 설명) | 필요성 | 활용 예시 |
Creative thinking 창의적 사고 | 기존의 사고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연결을 찾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능력 | 스토리텔링, 몰입형 경험 설계 등다앙한 미디어/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 창의적 사고의 핵심 역할을수행 | · 혁신적 스토리텔링 개발: 기존장르나 테마를 새롭게 재해석하거나 새로운 세계관을 설계하거나 콘텐츠 이용자가 선택을 통해참여형 스토리로 변화 · 융합 콘텐츠 기획 및 제작: 래거시 미디어와 OTT 플랫폼의 특성을 고려한 멀티플랫폼 융합 콘텐츠 기획 및 제작 · 독창적 형식 실험: 음악, 영화,게임 등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융합 콘텐츠의 기획과, 숏폼 동영상과 같은 새로운 플랫폼에서의확장된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 |
Crit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 | 콘텐츠와 서비스가 미치는 사회적, 문화적, 윤리적 영향을검토하고 이해하는 능력 | 미디어 콘텐츠와 서비스가 개인과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·부정적 영향의 심각성이 증대되고 문제 해결과 개선 방향 제시 필요성 증가 | · 뉴미디어의 사회적 영향 분석:정보 접근성과 소통/교류 증대로인해 미치는 긍정/부정 영향에대한 균형있는 분석 · 미디어 콘텐츠의 윤리적/교육적 효과 분석: 반사회적, 비윤리적 콘텐츠들이 교육적, 문화적 차원에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정책적 함의 도출 · 편향적/분열적 콘텐츠 이해 및분석: 소셜 미디어나 뉴스에서 제 공되는 정보의 편향 가능성을 이해하고, 다양한 시각을 검토하는능력 |
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터적 사고 | 현상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알고리즘적 사고와 데이터 기반접근법을 사용하는 능력 | 미디어/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콘텐츠와 서비스를 기술적으로 구현하고,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전략을 설계를 위해 필요한 능력 | · 데이터 기반 미디어/엔터테인먼트 상품 및 서비스 기획: 이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콘텐츠와 서비스를 개발 · AI 및 알고리즘 등 지능형 서비스 활용: 개인화 추천 시스템 등과 같은 콘텐츠 배포 방식에 적용될 수 있는 AI 기술을 활용한서비스 기획 · 기술 융합형 콘텐츠 기획: 가상현실(VR), 증강현실(AR)을 활용해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물며,사용자의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 기획 |
졸업 후 진로 - 미디어 콘텐츠 기획 및 제작자 (드라마·예능 등 방송, 게임, 가상현실, 증강현실,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), 미디어 관련 연구원(미디어 효과, 수용자, 심리, 산업 및 정책 영역 등), 빅데이터 분석가, 공연 영상 예술을 비롯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연출 및 작가,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기획 및 경영자 등.
전공기초 | 전공심화 |
매스커뮤니케이션 | 융합미디어와 이용자 |
미디어, 인간, 사회 | 가상현실 커뮤니케이션 |
미디어심리학 | 엔터테인먼트심리학 |
영화입문 | 설득과 미디어 |
스토리와 캐릭터 | Non-Fiction Filmmaking Workshop |
뮤지컬 프로덕션 | 시네마틱 스토리텔링 |
드라마의 창조적 해석 | Advanced Film Directing: Visualization Workshop |
미디어엔터테인먼트 기획론 | 드라마 연출 |
미디어엔터테인먼트 조직과 산업의 이해 | 각색 워크샵 |
디지털 미디어 교육론 | 극작 워크샵 |
인간중심 영상학 | 퍼포먼스의 세계 |
세계영화사 | 초지능사회론 |
Editing Aesthetics | 소셜 빅데이터 분석론 |
커뮤니케이션학입문 | 스마트 앱 비즈니스 모델연구 |
디지털 미디어 데이터 분석론 | |
| 미디어 벤처 창업 캡스톤 디자인 |
| 디지털콘텐츠기획[캡스톤 디자인] |
| 단편영화제작 워크숍[캡스톤 디자인] |
아시아 영화사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