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재상 - 급변하는 온-오프라인 정보 환경을 창의적으로 주도하는 저널리스트를 양성하는 동시에, 국민, 소비자, 지역 사회 등 다양한 공중을 상대로 한 소통을 윤리적이며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균형감각을 지닌 전략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를 육성합니다. 글로벌 정치 경제 환경, 융합하는 미디어 환경, 창의적 내용에 대한 사회적 요청에 응답하는 책임 있는 커뮤니케이터를 길러냅니다.
전공과목 - 글쓰기 능력, 분석 능력, 사회와 문화, 역사, 세계사적 흐름에 대한 이해력에 프로그래밍, 데이터 분석을 포함한 공학적 능력을 겸비해 정보, 광고, PR 메시지를 창의적이며 혁신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돕는 과목이 개설돼 있습니다. 전략 커뮤니케이션과 저널리즘을 기획하고 그 안의 창의적 내용을 제작, 유통할 수 있는 기술과 태도를 함양하는 과목도 제공합니다.
졸업 후 진로 - 국내외 온-오프 라인 저널리스트, 방송사 기자 및 PD, 데이터 전문 저널리스트, 일인 미디어 저널리스트, 광고대행사 AE, 광고 카피라이터, 기업 광고 담당자, PR 전문가, 정치, 기업, 협회, 병원 등의 커뮤니케이션 전문가, 미디어 경영 및 행정 담당관, 신종 미디어 스타트업, 미디어 컨설턴트 및 평론가, 대학원 진학, 각종 미디어 관련 사회 활동가 등.
전공기초 | 전공심화 |
저널리즘개론 | 미래 저널리즘 |
저널리즘과 사회이슈 | 평화 저널리즘 |
네트워크 사회와 미디어 | 미디어 문화사 |
영상문화와 사회 |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비판이론 |
대중문화론 | 통일커뮤니케이션 |
융합적 미디어 글쓰기 | 광고 커뮤니케이션과 소비자심리분석 |
광고 4.0 | 미디어와 위기커뮤니케이션 |
PR의 이해 | 영상문화 세미나 |
광고 카피라이팅과 전략적 글쓰기 | 공공외교와 글로벌 전략 커뮤니케이션 |
헬스커뮤니케이션과 디지털 미디어 | 창의적 뉴스, 다큐멘터리 랩 |
PR글쓰기와 실무 | 마케팅커뮤니케이션과 시장 읽기 |
텔레비전론 | 벤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|
PR 이론과 실제 | 미디어 콘텐츠 포맷론 |
창의적말하기와 글쓰기 | 데이터 마이닝 |
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| |
IMC 캠페인실습 | |
전략 커뮤니케이션 기획 실습 | |
기계학습 기반의 텍스트 마이닝 |